◆ 개념 및 특징
• 여러 개의 물리적인 포트를 하나의 논리적인 포트로 만들어 사용하는 기술이다.
• 대역폭을 확장하여 병목 현상을 해결하고, 물리적인 포트를 다수 연결함으로써 발생하는 Loop 방지를 할 수 있다.
• 회선 다중화를 통해 하나의 링크가 Fail이 발생해도 나머지 링크를 통해 지속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며, Load-Balance 기능으로 효율적인 서비스가 가능함.
• LACP(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
802.3ad Standard 프로토콜로 LAG를 동적(Dynamic)으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 프로토콜이다. 네트워크 스위치 간의 Link Aggregation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LAG 정보는 LACPDU(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 Data Units)에서 패킷으로 전달되며, LACP 동작 모드를 설정하여 LACPDU의 전송 방법을 정하고, 최대 16개의(8개 Backup) 포트를 지정할 수 있다.
Temaing, Bonding | -서버에서 인터페이스를 묶을 때 사용하는 용어 -windows 계열은 Teaming / Linux 계열은 Bonding |
Ether-Channel (Catylyst) | -네트워크에서 인터페이스를 묶을 때 사용하는 용어 -벤더에 따라서 용어를 조금씩 다르게 사용 |
Port-Channel (NX-OS) | |
Bundle-Ethernet (IOS-XR) | |
Port-Truking |
◆ 구성 조건
• Speed, Duplex가 동일해야 한다.
• Switch port mode가 동일해야 한다. (Access or Trunk)
• Trunk port에 Native 또는 Allowed VLAN 정보가 동일해야 한다.
• Access port에 대한 Access VLAN 구성이 동일해야 한다.
• 이더채널의 모든 포트는 SPAN(Switched Port Analyzer)이면 안 된다.
• 이더채널은 보안 설정이 되어 있는 Port는 구성 하지 않는다.
◆ 구성 조건
• Bandwidth 향상 : 여러 개의 물리적인 인터페이스를 하나의 논리적인 포트로 사용함으로써 대역폭을 늘릴 수 있다.
• High Availability (고가용성) : 동일한 포트 그룹에 속한 링크 중 어느 하나가 단절 되더라도 나머지 링크를 통해서 지속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다.
• Load Balancing (부하분산)
• Loop 방지
※ 가용성(high availability)과 부하분산(load balancing) 둘 다 가능하도록 2개의 link를 active-active 구성 및
- physical switch 2대를 logical switch 1대로 구성
cisco : vPC
juniper : VC
◆ 협상 방법
[ LACP(802.3ad) Negotiation ] | |
Active | 내가 먼저 상대방에게 LACP message를 보내서 Channeling을 맺고자한다. (상대 port와 Negotiation을 주고받음) |
Passive | 상대방이 나에게 LACP message를 보내면 그것에 대해 응답만 한다. (양쪽 모두 Passive이면 Ether-Channel이 구현되지 않는다.) |
On | LACP로 동작하지 않는다. (채널링을 묶는데, 상대와 Negotiation을 하지 않는다) |
[ PAGP(cisco) Negotiation ] | |
Auto | 상대방이 나에게 PAGP message를 보내면 그것에 대해 응답만 한다. (양쪽 모두 Auto이면 Ether-Channel이 구현되지 않는다.) |
Desirable | 내가 먼저 상대방에게 PAGP message를 보내서 Channeling을 맺고자 한다. (상대 port와 Negotiation을 주고받음.) |
On | PAGP로 동작하지 않는다. (채널링을 묶는데, 상대와 Negotiation을 하지 않는다) |
◆ LACP Parameter
system-priority | LACP가 동작하는 각 라우터에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생성되며, Master/Slave를 정하여 Master 기준으로 LACP가 동작할 수있도록 한다.(0~65535(default 127), Low Value = High Priority) |
system-id | 각 장비들의 Actor(자신) MAC address 정보이다. system-priority와 MAC 값이 조합되어 고유한 LACP system-id가 생성된다. |
administrative key | LACP를 맺으려는 장비 간에 같은 key 값을 사용하는지 확인하여 채널링을 맺을 때 사용. |
port-priority | LACP 포트 구성원에 할당 된 인터페이스의 우선순위 설정. 0~65535(default 127) , Low Value = High Priority |
port-id | 인터페이스의 Index ID 액터 또는 파트너가 포트에 할당 한 포트 번호 |
flag | LACP Activity : Passive = 0 / Active = 1 ACP Timeout : Long = 0 / Short = 1 Aggregation : Individual = 0 / Aggregatable = 1 Synchronization : Not in sync = 0 / in sync = 1 Collecting : Disable = 0 / Enable = 1 Distributed : No = 0, Yes = 1 Defaulted : No = 0, Yes = 1 Expired : No = 0, Yes = 1 |
'네트워크 > LAG'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G - configuration (0) | 2023.04.29 |
---|---|
[IOS-XR] NCS6008 LAG(Link Aggregation) (0) | 202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