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PF Area
▪ OSPF는 네트워크를 복수개의 에어리어로 나누어 설정한다.
▪ 두 개 이상의 Area로 구성할 때에는 그 중 하나는 반드시 Area 번호를 0으로 설정해야 한다.
▪ OSPF의 라우팅 정보를 LSA라고 하며, 이 중 LSA type1, 2는 동일 Area 내부로만 전달된다.
(토폴로지 변화가 심한 네트워크에서 그 영향을 하나의 Area 내부에만 국한시킬 수 있다.)
▪ Area별로 축약을 한다. 특정 Area에 소속된 네트워크를 축약함으로써 특정 Area의 네트워크 정보를 광고하는 LSA type 3의 전송을 최소화할 수 있다.
(특정 에어리어에서 발생하는 토폴로지 변화가 다른 에어리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 Stub Area란 OSPF 외부 네트워크(재분배된) 또는 Area의 라우팅 정보가 모두 차단되어 Routing Table이 획기적으로 줄어든 Area를 말한다.
▪ Backbone Area (Area 0)
ㆍBackbone Area에 속한 라우터.
ㆍOSPF Domain 내의 모든 라우팅 정보는 Backbone Area를 통해 공유.
ㆍ모든 Area는 반드시 Backbone Area에 물리적으로 연결되어야한다.
▪ Non Backbone Area
ㆍBackbone Area 외의 Area.
ㆍ자신의 Area에 속한 라우팅 정보는 갖고 있지만 다른 Area의 라우팅 정보는 갖고 있지 않음.
ㆍ라우팅 정보는 Backbone Area에게 요약(summary)된 네트워크 형태로 전달된다.
▪ Stub Area
ㆍ외부로 나가는 경로가 ABR을 통한 경로 밖에 없는 Area 이다.
ㆍ ASBR을 통한 재분배 경로가 존재해서는 안된다. (OSPF 이외의 네트워크는 존재하지 않음)
ㆍABR은 내부 라우터에게 모든 외부 Network 경로에 대한 LSA를 차단하고, 대신 Default Route 정보를 전달한다. (stub area에 포함된 라우터들은 자신의 routing table에 없는 경로로 패킷을 전달해야 될 경우에 default route인 ABR에게 패킷을 전달.)
▪ Totally Stubby Area
ㆍCisco 장비에만 설정 가능한 Area
ㆍStub Area보다 더 많은 정보를 차단
ㆍOSPF Domain 외부 Network 정보와 다른 Area의 Network 정보도 모두 Default Route로 대체
▪ NSSA Area
ㆍstub area는 ASBR이 존재해서는 안되는데 NSSA에서는 있을 수 있고, 외부에서 재분배되어 유입되는 네트워크도 있을 수 있다.
ㆍABR 외에도 외부 경로가 있을 수 있으므로 기본적으로 default route 정보를 내부로 전달하지 않는다.
ㆍ보통 OSPF 외부에서 재분배되어 들어오는 경로가 host 수준의 경로이고 그쪽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로 가기 힘든 구조이다. 이런 경우에는 ABR로부터 default route 정보를 받는다. (default-information-originate)
▪ Totally NSSA Area
ㆍTotally Stubby와 NSSA를 합쳐 놓은 개념.
ㆍOSPF 외부 경로가 있지만 해당 경로가 Stub Netowrk일 경우 외부로 나가기 위한 경로가 ABR을 통하는 경로밖에 없을 경우에 선언한다. 이 때 ABR에서 no-summary를 적용하여 default-route를 내부 라우터들에게 전달 한다.
OSPF Router의 종류
OSPF Router는 소속된 Area와 역할에 따라서 내부 라우터, ABR, ASBR로 구분된다.
구분 | 설명 |
Backbone Router |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가 Backbone Area에 연결된 라우터. |
Internal Router | OSPF가 활성화된 모든 인터페이스가 하나의 AREA에 포함된 라우터. |
ABR (Area Border Router) |
두 개 이상의 Area에 소속된 Area 경계 라우터.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가 AREA 0에 포함되고 다른 인터페이스가 일반 에어리어에 포함된 라우터. (비백본 ↔ 백본 Area 사이에서 Network 정보 전달) |
ASBR (Autonomous System Boundary Router) |
OSPF 네트워크와 다른 라우팅 프로토콜이 설정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AS 경계 라우터. ASBR이란 다른 라우팅 프로토콜을 OSPF로 재분배시키는 라우터이다. |
OSPF LSA Type
Type | Name | 생성 라우터 | 내용 | 전송 범위 | 라우팅 테이블 표기방법 |
1 | Router | OSPF가 동작하는 모든 라우터 | 동일 에어리어에 소속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상태 |
동일 에어리어내의 모든 라우터 | O |
2 | Network | DR | Ethernet에 연결된 Router List, DR과 연결된 라우터의 Router-id |
동일 에어리어내의 모든 라우터 | O |
3 | Network Summary |
ABR | 다른 에어리어의 네트워크 정보, Area 내부 네트워크 정보를 summary해서 백본에게 광고 | 다른 Area의 정보를 자신의 Area로 전달 | O IA |
4 | ASBR Summary |
ABR | 다른 Area의 ASBR의 Router-id와 ASBR까지의 Cost, ABR에서 ASBR까지 경로를 summary해서 Area 내부로 광고 | 다른 Area의 네트워크 정보를 현재의 Area에 소속된 라우터들에게 전달 | O IA |
5 | ASBR External | ASBR | OSPF 도메인 외부 네트워크 | 외부 네트워크 정보를 Stub Area 내부로 전달 | O E1 O E2 |
7 | NSSA External |
NSSA ASBR |
NSSA 외부 네트워크 | 외부 네트워크 정보를 NSSA Area 내부로 전달 | O N1 O N2 |
LSA Type-1,2는 OSPF Intra Area 정보로 동일한 Area에 소속된 라우터로부터 정보를 수신한 경우이며, 라우팅 테이블에 'O'로 표시된다. LSA Type-3,4는 OSPF Internal Area로서 다른 Area에 소속된 네트워크 정보이며 'O IA'로 표시된다.
LSA Type-5는 ASBR에 의해 다른 라우팅 프로토콜에서 OSPF로 재분배된 외부 네트워크 정보이다. ‘O E1’ 또는 ‘O E2’로 기록이 표시됨. E2의 경우는 재분배될 때 적용된 OSPF Metric(cost)이 OSPF 내부 라우터들을 거쳐 전파되어도 변하지 않는 고정 코스트 값을 가지며, 재분배시 적용되는 기본값이다. E1의 경우는 재분배시에 Metric이 한 번 적용된 후 OSPF 내부 라우터 구간을 거칠수록 Metric 값들이 추가되는 변동 코스트 값을 가진다.
LSA Type-7은 ASBR에 의해 재분배되어 넘어온 외부 네트워크 정보이다. NSSA(Not-So-Stub-Area)에서 사용되며, Type-5와 차이점은 일반 ASBR이 아닌 NSSA ASBR이 재분배 한다. 라우팅 테이블에는 ‘O N1’ 또는 ‘O N2’로 표시되며 E1/E2와 마찬가지로 OSPF 내부 metric을 더하느냐, 더하지 않느냐의 차이이다. (기본은 ‘O N2’) 참고로 해당 정보를 OSPF 내부로 재분배한 NSSA ASBR이 포함된 에어리어 에서는 ‘O N1’ 또는 ‘O N2’로 나타나지만, 이 정보가 ABR에 의해 타 Area로 전파될 때는 LSA Type-5로 변환이 되어 ‘O E1’ 또는 ‘O E2’로 변경된다.
LSA Type | Link State ID 내용 | 확인 명령어 show ip ospf database [ ] |
1. Router | LSA 생성 라우터의 Route-id | router |
2. Network | DR의 인터페이스 주소 | network |
3. Network Summary | 다른 Area에 소속된 네트워크 주소 | summary |
4. ASBR Summary | 다른 Area에 소속된 ASBR의 Router-id | asbr-summary |
5. ASBR External | OSPF 도메인 외부 네트워크 | external |
7. NSSA External |
'네트워크 > OSPF'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PF] Default Route (0) | 2025.03.26 |
---|---|
[OSPF] 네트워크 축약(Summary) (0) | 2025.03.26 |
[OSPF] 타이머(Timer) (0) | 2025.03.26 |
[OSPF] passive interface (0) | 2025.03.26 |
[OSPF] 개념 1 (0) | 2025.03.21 |